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지식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과 예방방법 등 총정리

by 오가네 2022. 8. 7.
반응형

소형견을 키우는 반려인들은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시고 강아지가 집사를 반기며 뛸 때마다 관절에 무리를 줄까 봐 노심초사하면서 지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지금은 괜찮지만 나이가 들면 강아지 슬개골 탈구의 위험도가 더 커지는데 오늘은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과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강아지 슬개골 탈구

강아지 슬개골 탈구

슬개골은 사람도 무릎 주위에 무릎뼈(슬개골)가 있는데 강아지도 마찬가지로 아몬드 형태의 무릎뼈를 슬개골이라고 합니다. 힘줄과 인대와 함께 무릎을 부드럽게 움직여 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과 잘못된 자세로 인해 무릎뼈가 평소 위치에서 자리를 벗어난 것을 뜻하고 다시 돌아오면 큰 문제는 아니지만 계속 탈구되어 있을 때 큰 문제가 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

강아지가 슬개골 탈구가 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선천적인 원인이 있고 후천적인 원인 2가지로 나뉩니다.

선천적 원인

  • 유전적인 이유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강아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슬개골 탈구의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대형견보다 중형견이 중형견 보다 소형견이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슬개골을 품고 있는 뼈를 활차 구라고 하는데 그 홈의 크기도 작습니다. 그래서 강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탈구되기 때문에 소형견이 슬개골 탈구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후천적 원인

  • 비만 : 크기에 비해 과체중일 경우에 다리 관절에 무리가 많이 갑니다. 
  • 무리가는 자세 : 두 발로 서서 점프를 자주 하거나, 높은 곳에 자주 올라갔다 내려올 때 등 다리 관절에 무리 가는 자세를 자주 하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미끄러짐 : 한번씩 미끄러지는 것은 크게 원인이 될 수 없지만 평소 가정에서 강아지가 미끄러운 바닥에서 뛰거나 움직일 때 관절에 무리가 조금씩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

강아지 슬개골 탈구 초기 증상을 잘 확인해야 됩니다. 아픈 상태에서 무리하게 사용하다 보면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증상이 없는 무증상 형태로도 많이 나타나니 정기적인 검진도 중요하고 평소에 많은 관심을 가져줍시다.

  • 다리를 만져보면 뼈가 빠진 느낌이들때
  • 침대, 소파 등 높은 곳에 바로 올라가지 못하고 보호자를 쳐다보며 낑낑거리고 올려달라고 조르는 것이 잦아들 때
  •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질질 끌면서 다닐 때
  • 뒤에서 걷는 모습을 볼 때 다리가 0자 형태로 휘어져 있을 때
  • 걸을 때 한쪽 다리를 땅에 딛지 못할 때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강아지는 네 발로 걷는 동물이기 때문에 한쪽 무릎뼈에 문제가 생겨도 무증상으로 방치되는 경우도 많고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도 많습니다. 평소에 정기적으로 병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드리고 초기에 수술을 할수록 재발할 확률이 낮아집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는 1기에서 4기까지 있는데 숫자가 작을수록 초기 단계를 의미합니다.

  • 1기 : 재발률 거의 없음
  • 2기 : 재발률 거의 없음
  • 3기 : 약 20%
  • 4기 : 약 40% 강아지 슬개골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비용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비용은 병원마다 천차만별이지만 한쪽당 100만 원 안 밖입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후 관리

슬개골 수술 후 완전히 식욕이 돌아오는 데 길게는 5일 정도 소요됩니다. 또한 봉합부위는 1주일 정도 소요되고 슬개골 수술 부위에 관절 안착을 온전히 하기 위해 한 달 정도는 안정을 취해주며 움직임을 조심해주셔야 됩니다. 또한 병원에 내원해서 재활 치료 등 내원을 해주시면서 관리를 해야 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예방 방법

소형견 80%가 슬개골 탈구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슬개골 탈구의 빈도는 높은데 1기 정도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가지 않을 정도로 미미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예방을 해주셔야 됩니다. 유전적인 것이 아니라면 아래 수칙을 잘 지켜주시면 문제없이 키우실 수 있습니다.

  •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깝니다.
  • 점프를 최대한 못하도록 막습니다.
  • 반려인이 머무르는 곳이 강아지에게 높다면 강아지 계단 및 스탭을 설치해주세요
  • 관절영양제와 고단백 간식을 먹여주세요
  • 체중 조절
  • 수영 등 관절에 도움 되는 운동을 시켜주세요
  • 강아지 슬개골 탈구 마사지를 해주세요
  • 집에서 공놀이 등 다리에 무리 가는 운동을 자제해주세요
  • 강아지 슬개골 탈구 보호대 착용

 

댓글